TIL

http 메소드 차이 정리

하얀잔디 2022. 12. 26. 16:40

GET 은 조회할때, POST는 생성할때 사용하는 http 메소드라는 사실은 알고있을것이다.

 

하지만, POST로 조회하면 안될까? 에서 출발한 궁금증이었다.

 

GET

"캐시가 가능하다"

 : GET을 통해 서버에 리소스를 요청할 때 웹 캐시가 요청을 가로채 서버로부터 리소스를 다시 다운로드하는 대신 리소스의 복사본을 반환한다. HTTP 헤더에서 cache-control 헤더를 통해 캐시 옵션을 지정할 수 있다.

 

<< 이 점이 가장 강력한 기능인것같다. 조회시에는 캐시할일이 많으니..

 

GET 요청은 브라우저 히스토리에 남는다.

 

GET 요청은 북마크 될 수 있다.

 

GET 요청은 길이 제한이 있다.

 : GET 요청의 길이 제한은 표준이 따로 있는건 아니고 브라우저마다 제한이 다르다고 한다. 

 

POST

 


  • POST 요청은 캐시되지 않는다.

  • POST 요청은 브라우저 히스토리에 남지 않는다.

  • POST 요청은 북마크 되지 않는다.

  • POST 요청은 데이터 길이에 제한이 없다.

 

 

 

수정할때는 두가지가 헷갈리곤한다.

 

PUT

PUT : 리소스의 모든 것을 업데이트 한다.

 

"보낸 값 그대로 업데이트"

 

 

PATCH

PATCH : 리소스의 일부를 업데이트 한다.

 

 

 

바꿀값만 바꿔준다!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JWT vs Session  (0) 2023.01.02
생성자패턴 vs Builder 패턴  (0) 2022.12.28
@Column (name = " " ) name 대소문자 관리  (0) 2022.12.26
[java] Pattern, Matcher  (0) 2022.12.20
오라클 MERGE문  (0) 2022.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