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인그레스..서비스..가상서비스..

하얀잔디 2023. 3. 21. 18:12

배포를 해야한다.

 

Local <-> 실환경 <-> Stage 환경(배포) 으로 크게 3가지로 개발이 진행되는데,

 

현재 로컬과 실환경은 되었는데 stage 환경에 배포하려니 뭐가 뭔지 모르겠다.

 

우선 쿠버네틱스 용어부터 내말로 '정리' 하려고 한다.

 

Pod,

Deployment,

Service,

Ingress,

Container,

Cluster

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려고한다.

 

출처 : kubernetes 사이트

인그레스 : -> 입구. ( 스프링으로 치면 컨트롤러 느낌)

라우팅 규칙 ? -> 인그레스 yaml을 보면 아래와 같이 yml 설정칸이 있다.

host에 맞추어서

서비스 -> 

 

서비스 메쉬의 가상 서비스 가 있고,

네트워크 칸의 서비스 가 있어서 서비스가 뭐지? 하고 고민했는데,

 

네트워크 -> 서비스가 서비스와 파드를 연결해주는 설정이고

 

 

디플로이먼트 -> 파드 복제, 앱 복제, 레플리카 관련 설정.

 

서비스 -> 안정적인 endpoint를 제공하기 위한 설정이다.

-> pod가 만들어질때가 있고 없어질 때가 있는데, 그럴때 안정적인 배포를 위함.

 

즉 -> pod 만 만들어도 되기는하지만

 

deployment + service + pod 3개를 구축해야한다.

 

+istio-proxy ?

 

파드가 참고하는 컨테이너가 istio 관련 컨테이너도 만드는거였는데,

 

istio-proxy ? -> 네트워크 트래픽 관련 설정이라고 한다.

 

istio ? -> 

 

흠.. 그냥 좋은거란다.

제대로 알아보려면 참고하자.

https://cloud.google.com/learn/what-is-istio?hl=ko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Log  (0) 2023.04.06
Server to Server 동기/비동기  (0) 2023.04.06
CompletableFuture.  (0) 2023.02.28
Pageable vs PageRequest  (0) 2023.02.28
1번에 동시에 여러 Entity 저장하기 Spring  (0) 2023.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