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12로 개발자도구를 열어서 확인해보면,
계속 서비스가 2번씩 호출되는것 같아서 보니까, Request Method가 POST거나 GET 이런게 아니고 OPTIONS 인 경우가 있었다.
이게 뭐지? 하고 찾아보니
서버에게 노크를 하는 개념인것 같다.
"OPTIONS"는 HTTP 메서드 중 하나로,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자원(예: 웹 페이지, 이미지, 동영상 등)에
대한 특정 작업이 가능한지 또는 허용되는 HTTP 메서드(예: GET, POST, PUT 등)가 무엇인지를 요청하는 메서드입니다.
클라이언트는 OPTIONS 요청을 특정 URL에 보내고, 서버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Allow" 헤더를 포함한 HTTP 상태 코드 200 OK를 반환합니다. "Allow" 헤더는 해당 자원에서 허용되는 HTTP 메서드 목록을 나타내며, 클라이언트는 이를 기반으로 자원에 대한 적절한 HTTP 메서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OPTIONS 요청은 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 기능을 사용하여, 다른 도메인의 서버로부터 자원을 요청할 때 해당 서버에서 허용되는 메서드를 확인할 수 있는 용도로도 사용됩니다.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JPA delete가 안된다면 (2) | 2023.05.18 |
---|---|
spring.profiles.active 에 관하여 (2) | 2023.05.12 |
checked Exception vs unchecked Exception (0) | 2023.05.09 |
@Transactional에 대한 이해 (2) | 2023.05.03 |
502 에러 (0) | 2023.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