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K가 없이 만든 테이블이 많이 보였다.
실제로 물어보니 필요가 없다고도 했다..
난 무조건 연관관계에 있어서 필요한줄 알았는데 그것도 아닌것 같지만, 있으면 좋은점이 분명히 있다.
아무튼..
정합성까지 신경쓰기 개발자들이 싫다는 이유가 많은게 큰 이유인것 같다.
정합성 ? : 두 테이블 간의 같은 데이터를 보는 값이 다름 ( 모순) -> 정합성이 지켜지지않음.
무결성 ? : 나이가 음수 (말이 안되거나 제한조건에 맞지 않음) --> 무결성이 지켜지지 않음.
A테이블의 민수의 나이와 A테이블의 민수의 나이를 참조하는 B 테이블의 나이가 모두 -1 이라면??
-> 정합성은 지켜지나 무결성은 지켜지지 않은 상황.
참고:
https://velog.io/@subutai/%EB%A7%A4%EC%9D%BC-2day
[DB] 외래키의 장점과 단점 및 논의
데이터베이스 개론을 들으면, 외래키는 테이블과 테이블간의 연관관계를 맺어주는역할을 한다고 한다. 생각해보면 외래키의 여러가지 장점만 배우고,예를들어 제약조건 생성, 테이블관의 명시
velog.io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913 Mapper vs Repository (0) | 2022.09.13 |
---|---|
220901 JDBC (0) | 2022.09.01 |
Join vs Fetch Join (0) | 2022.08.30 |
220830 Stringbuilder (0) | 2022.08.30 |
220829 querydsl 설정 오류.. (0) | 2022.08.30 |